학습과공부그리고생활의원칙
-
배우고 익히는 것은 수레의 양바퀴와 같다.공부이야기 2012. 3. 29. 11:39
'직선'은 '곡선'을 이길 수 없다 학습은 빠르게 배우는 '학學'과 느리게 익히는 '습習"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빠르게 배우기만 하고 느리게 익히는 노력을 게을리 하면 절름발이 학습으로 전락합니다. 요즘 사람들은 남의 정보에 빠르게 접속하고 다운로드 하지만 접속한 정보를 내 것으로 소화시키는 '습' 활동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내가 꿈꾸는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려면 그 분야에 필요한 지식을 숙성시키는 절대시간이 필요합니다. 겉절이는 빠르게 만들 수 있지만 김치는 숙성시켜야 비로소 맛이 살아 움직이는 이치와 같습니다. 학습활동을 통해 지식을 창조하기 위해서는 숙성의 여유와 느림의 지혜가 필요합니다. 이 세상의 아름다움은 모두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찰나의 깨달음과 번뜩이는 통찰력의..
-
시험결과에 대한 부모의 반응이 차후의 아이들의 학업태도에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된다.공부이야기 2011. 7. 7. 21:58
시험결과가 잘못나온 경우에 가장 속상해하는 사람은 바로 당사자인 아이들이다. 부모가 먼저 거품을 물지마라. 실수와 착각으로 틀렸을 때 눈물이 앞을 가리는 이도 바로 아이들이다. 경쟁심이 없는 아이들은 없다. 다만, 무디어지게 된다. 부모때문에. 실수로 슬퍼하고 부족한 공부로 나온 성적에 반성을 하기도 전에 부모의 성난얼굴과 질책이 떠오른다면 이 아이는 분명 일시적으로 벌을 면하고 부모의 질책과 꾸중을 면하기 위해서 공부에 몰두하려는 태도를 보이기도 하겠지만, 결국에는 학습지진아로 전락할 것이다. 다소 낮간지럽더라도 쇼를 해라. 정작 부모의 자세와 역량이 빛을 발하는 시기는 시험중이 아니라 시험이 끝난 이후이다. 다음 시험과 학습에 대한 바른 태로를 정립하기 위해서 결과에 대한 치밀한 분석과 냉정한 대..
-
당신의 아이를 망치는 법공부이야기 2011. 7. 5. 10:33
아이와 나무는 같다. 지나치게 많은 관심과 배려는 오히려 생존력을 떨어뜨리고, 자생력과 투지를 약화시킨다. 당연히 해야할 신상필벌에 무디어지면 결국, 파멸의 부메랑으로 돌아오고, 스스로 극복해야 할 불안감과 걸림돌을 대신해주면 언젠가 아주 사소한 어려움에도 굴복하고 만다. 결국, 겪어야 할 일들은 지혜롭게 겪게 만들어 주어야 하고 때로는 알면서도 침묵하는 부모의 냉정한 자세가 필요하다. 독과 약은 동전의 양면이다. 무엇이든 지나치면 독이되고 무엇이든 적절하면 약이된다. 1.과도한 칭찬은 아이을 망치고 지나친 기대감의 표현은 아이의 성장을 멈추게 한다. 등등의 검증되지 않은 기대치가 포함된 과도한 칭찬은 독으로 작용한다. 부모가 천재고 영재가 아닌데 자식이 천재일 수 있고, 영재일 수 있다고 생각하는 ..
-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들을 얕보는 경향이 있다.:아이들은 부모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강하다.세상살이 2009. 7. 2. 14:02
부모들은 자신의 아이들이 항상 자신들의 보호하에 존재해야하고 자신들이 없으면 무슨 큰일이 나는 것 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자신들이 꽤 독립적으로 자라왔던 부모들에게서도 예외를 찾기 힘들 정도이다. 이러한 경향은 한 가정에 아이들이 하나인 경우가 보편화 되면서 더욱 심해졌다. 그러나 아이들은 부모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훨씬 강하고 현명하다. 그걸 믿지 못하는 부모들이 마마걸,파파걸,마마보이,파파보이들을 양산하는 것이다. "직접 경험하고 직접 행동하고 생각하라."를 생활의 모토로 삼는다면 절대로 과잉보호로 양산된 아이들이나 청소년들이 이 사회에서 만큼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사회의 경우 절대로 과잉보호로 자란 아이들을 받아들여 주거나 배려해주지 않는다. 온갖 편법과 나름의 원칙들이 난무하고 삶의 격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