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탈영은 모두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세상살이 2007. 10. 12. 18:26
    728x90
    반응형
     

    최근 5년간 소속 부대에서 탈영한 군인 숫자가 5천 9백여 명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더구나 장교들과 하사관들의 탈영도 그 수가 상당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 사병들보다 훨씬 나은 환경에서 근무하는 장교들,사병의 일탈을 막아햐 하는 장교나 하사관들까지
    탈영의 대열에서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한번쯤은 냉정하게 집어봐야 할 것입니다.

    탈영은 예나지금이나 항상 꾸준히 발생하는 군의 문제입니다. 이 문제를 단순히 개인의 인성이나 집안 또는 교육과 연계시켜서 한정시킨다면 그 해답을 찾기는 여러울 것 같습니다.

    탈영의 원인은 제가 군대생활에서 겪은것을 토대로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1.조직생활의 부적응

      하나의 틀에 매여서 생활하는 것을 몹시 힘들어하는 부류가 있습니다.

      유학생활이나 자유분방한 생활에 익숙한 병사들중에서 많이 있는 현상입니다.

    2.가정적인 문제

      가정사가 복잡하고 수시로 뒤에 남겨놓은 가족들간의 문제로 탈영이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있습니다.

    3.여자문제

       예전에는 특히 많았습니다. 두고온 “애인이 신발을 거꾸로 신는다“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도 요즈음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제 경우도 부하병사한명이 외박후에 귀대를 안해서 찾으러 다닌 기억이 있습니다.

       이유는 자신의 애인이 자신과 자신의 가장친했던 친구가 커플이 되어있어서 응징을 하기

       위해서 잠복근무를 하느라 귀대를 미루었다고 술에 떡이되어서 말하는 것을 달래서

       귀대시킨 기억이 있습니다.

     4.대화공감대의 부재.

       제 생각에는 무엇보다도 가장 큰 이유는 대화의 진지성과 배려의 부족이라고

       생각합니다.위의 3가지의 문제로 탈영하는 경우 분명 관련병사들의 경우 미리

       자신의 고민을 어떤 식으로 든지 외부에 비쳐보입니다. 그때 동료사병이나 선임병

       그리고 기타 간부들이 고민을  진지하게 들어주고 관심을 가져준다면 상당수의

       탈영이 무위로 끊날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의 관련자들은 웃음거리로 삼거나 한때의 가십거리로 탈영병들의 고민을

       이용합니다.

    5.탈영은 어쩌면 사회나 가정과 단절되어서 생활하는 젊은 병사들에게 있어 항상 유혹일 수

      있습니다. 이를 관련자들과 사회 그리고 군은 다양하고 진지한 대화 채널을 이용해서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형식적은 설문조사와 소원술이는 정말 윽입니다.

    탈영병은 사회적인 부적응자로 낙인찍히고 한동안 도망자신세입니다. 발견되거나 자수하기 전까지..
    더 나아가 한때의 순간적인 실수로 이들이 어둠속에서 생활하면서 사회의 악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다분합니다. 이들에 대한 문제는 단순히 탈영병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일 수
    있습니다.


    Daum 블로거뉴스
    블로거뉴스에서 이 포스트를 추천해주세요.
    추천하기
    728x90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