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간은 인간이 숨을 쉬면서 미래를 꿈꾸고 과거를 회고하면서 현실을 살아가는 공간입니다. 이러한 공간은 현대인의 삶속에서 과거 어느때 보다도 더욱 절실하고 필요성있게 다가오고 있습니다. 도시문화의 무미건조함과 인간소외의 보편화 속에서 우리의 삶은 이제 가족과 공간을 중심으로 인간이 다시 살아나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자신이 공간을 주변과는 다른 차별화 된 건축디자인과 인테리어디자인으로 연출하고자 하는 욕구는 항상 일정정도의 부를 축적한 사람들에게 있어왔던 본능적인 삶의 자세입니다. 다만,자연과 주변의 여건과의 조화를 이루면서 자신의 공간을 위세의 공간이 아닌 조화의 공간으로 만드는 지혜가 부족했을 뿐입니다.
도시인으로서 이 세상을 산다는 것은 어쩌면 삶속에 정과 사랑이 아닌 실리와 물질을 주된 요소로 해야 하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도시적인 삶속에서도 자신의 개성과 자신만의 사고를 공간과 디자인을 통해서 표현할 수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사고의 중심에는 인테리어와 건축디자인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상당한 규모의 주택들이면서 그 주변 자연경관과의 자연스러움이 우리의 눈에 독특하게 보여집니다. 주변 녹색의 생명들의 공간내외부와 조화롭게 조우하는 모습이 녹색건축의 변화가능성과 발전가능성을 보여 줍니다.
화려하지만 하지않고 그 안에 효율성과 친환경적인 테마가 숨어있는 건축인테리어입니다. 주변의 경관을 크게 훼손하지 않은 채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면서 공간이 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 가고 있습니다. 그린건축인테리어가 이제 차세대 주거건축문화의 트랜드로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환상적이면서 고급스러운 주거공간은 모든 이들의 로망이다. 건축디자인이 상업공간위주의 역량을 주거공간과 주상복합으로 그 변화를 시도한 이래로 홈건축인테리어디자인은 이제 당당하게 하나의 건축분야로 자리잡고 있다.
건축디자인은 당신의 시대상과 당신의 사람들의 문화적인 의식구조를 총체적으로 보여주는 문화적 유산입니다. 작은 변화마져 인간의 심성을 좌우하는 민감한 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에게 있어서 개성넘치면서 활력이 솟는 건축디자인이 홈건축인테리어로 그 변화를 시도하고 진행되고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입니다.
주거문화는 살기위해서 그 효율성과 단조로움 위주로 그 성장을 거듭하여 왔다.삶이 편의성이 주가된 공간으로 주거공간이 자리잡힌 것이다. 그러나 경제적인 수준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우리의 삶은 점차 차별화 된 모습과 공간연출에 주목하게 되었고 인테리어디자인과 주거공간에 대한 변화된 디자인의 모습도 곧 현실화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