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인테리어소품만들기:이쁜집꾸미기
    꾸미기나라 2008. 6. 3. 20:01
    반응형
    가꾸는 재미, 실내장식 효과까지!

    테이블 위의 미니 정원 토피어리 DIY
    미니 조형식물을 뜻하는 ‘토피어리’가 요즘 인기다. 흙 없는 실내에 미니 정원을 꾸미면 아이들에게 자연학습 효과를 줄 뿐 아니라, 실내습도를 조절해주고 인테리어 효과까지 있어 일석삼조의 즐거움을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스타일로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어 더욱 흥미진진한 토피어리 DIY.

    토피어리란?
    ‘식물을 입체적인 형태로 다듬은 상태’를 모두 ‘토피어리’라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예를 들어 영화 <가위손>의 주인공이 신기한 손놀림으로 고성의 나무를 가지치기하던 것도 토피어리이며, 놀이공원의 식물로 만든 동물 모형도 토피어리의 일종. 19세기 유럽의 정원사들이 실내에 설치 가능한 소형 작품들을 만들기 시작, 20세기에 들어서는 프레임을 이용한 작품으로 개발되어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토피어리를 만들고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실내 가습&공기 정화 효과!

    토피어리를 만들 때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가 이끼를 말린 ‘수태’. 물에 불린 뒤 뼈대가 되는 와이어에 붙여 기본 틀을 만드는데, 이것이 실내 가습기 역할을 한다. 여기에 공기 정화 식물을 심으면 그 효과는 더욱 커진다.

    다양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에 활용!
    1 _꽃바구니 모양으로 코너 장식 바구니 모양의 틀에 수태를 감싸고 안에 배양토를 다져 넣은 뒤 겉면에 아이비를 돌려 심는다. 배양토를 넣은 바구니 안에 오아시스를 놓고 화사한 꽃을 꽂으면 천연 꽃바구니가 된다. 거실 코너에 스툴을 놓고 꽃바구니를 올려놓으면 상큼한 장식 효과를 낼 수 있다.

    2 _액자 토피어리로 벽면 장식 마치 하나의 오브제 작품처럼 액자 형태로 만든 토피어리. 거실 벽면이나 주방 벽면에 걸면 이국적인 멋이 물씬 풍긴다. 벽에 거는 타입이라 물을 조금만 줘도 되는 선인장 등의 다육식물을 심는 것이 좋다.

    3 _식탁 위 센터피스로 활용한 미니 가든 와이어를 엮어 만든 바구니에 수태를 깔고 흙을 넣은 뒤 키 낮은 초화를 심어 미니 정원으로 꾸몄다. 색색의 꽃을 심어 식탁 위 센터피스로 활용하면 주방에 생동감을 더할 수 있다.

    4 _방향식물 토피어리를 침대 곁에 볼 형태로 시판되는 토피어리 틀에 상쾌한 솔향기가 나는 율마를 심어 넓은 접시에 옹기종기 담아 미니 정원을 완성했다. 향기 좋은 허브류를 심어 실내에 놓으면 방향 효과를 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침대 옆에 놓으면 숙면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5 _행잉 토피어리로 창가 장식 아이비 같은 넝쿨식물은 볼형 토피어리 틀에 심어 허전한 창가나 베란다 등에 걸어놓으면 멋스럽다. 행잉 스타일이라 물을 조금만 주어도 되는 식물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초보자도 한 시간 내에 뚝딱! 토피어리 DIY
    볼 토피어리

    필요한 재료
    수태, 생명토(찰흙처럼 모양을 만들 수 있는 배양토), 화분망 약간, 고정 줄, 보정 바늘, 코팅장갑, 미니 야자, 비닐, 기타 장식 액세서리

    1_바닥에 비닐을 펼쳐놓고 물에 불린 수태를 지름 25cm가 되도록 깐다. 수태 가운데 부분에 사방 5cm 크기로 자른 화분망을 올려놓는다.

    2_생명토로 4×8cm 크기의 직사각형 벽돌 모양을 만들어 사진처럼 세운다. 가운데가 미니 야자를 심을 공간.

    3_미니 야자를 포트에서 꺼내 흙을 대강 털어낸 뒤 ②의 가운데 공간에 놓는다.

    4_바닥에 깐 비닐을 이용해 손으로 수태를 둥그렇게 감싸며 꾹꾹 눌러 모양을 잡는다.

    5_고정 줄을 이용해 수태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여러 번 돌려가며 묶는다. 보정 바늘에 줄을 끼워 볼 부분을 몇 번 관통한 다음 줄을 자른다.

    출처:우먼센스

    인테리어소품을 자신의 주변에 있는 간단한 소도구를 이용해서 직접 만들거나 리폼을 하게되면 공간에 대한
    연출에 있어서 애착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행복한 공간은 어느 정도의 스스로의 창의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리폼인테리어와 셀프인테리어의 경우 스스로 발전하는 인테리어디자인의 한 갈례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