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자인은 새로움에 대한 예의다. 디자인은 고통의 산물이 아닌 즐거움의 산물이다. 스스로의 생각을 만들어내고 스스로의 생각을 구체화하는 삶에 대한 아니 자신에 대한 예의다.
다양한 주거의 형식에서 보여지는 인테리어디자인은 특히, 주거공간의 경우에 그 가치와 개성의 색체가 더욱 강하게 보여진다. 공간이 주는 멋진 연출과 자기표현은 공간이 살아있음을 느끼게 한다.
가구소품인테리어디자인은 삶의 가치관을 바꿀수있습니다.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가구와 소품의 연출은 작은 변화일망정 그 변화의 파문은 상상을 초월해서 공간속에 있는 인간들의 삶에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주거공간도 살아있는 공간으로 변화가 가능합니다. 가구와 소품이 이루어진 공간의 연출은 주거공간의 경우에 더욱 멋진 공간연출을 가져옵니다. 가구와 소품은 주거공간의 부속품이지만, 그 자체만으로도 공간의 의미와 분위기를 변화시키는 주된 요소입니다.
공간의 변화가 본질이다. 인테리어디자인의 경우에 공간의 변신은 시간과 계절에 맞게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작은 공간의 변화도 그 공간의 주인공들에게는 큰 심리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동기가 된다. 작은 가구와 소품 때로는 위치만의 변화만으로 삶은 신선함을 더하여 줄 수 있다.
디자인은 기능이 아니다. 디자인은 삶이다. 일상속에서 만들어진 다양한 삶의 모습이 실제의 디자인이 반영된 공간이다. 디자인은 진화한다. 제품, 인테리어, 가구, 소품 등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디자인은 멋과 실용성이 가미된 새로운 모습의 연출이다.
여아들은 일정한 연령이 되면 더욱 급속도로 사고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더욱 그 성장의 속도를 빨리한다. 이러한 시점이 바로 개성과 독특한 감성이 활성화되는 시점이다. 십대소녀들에게 있어서 중요한 이 시점에 공간의 중요성은 상상이상으로 크다. 그들의 생각을 키우고 그들의 사고를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 노력의 근간에는 자신만의 공간에 대한 변화가 존재한다.
인테리어디자인은 삶의 중심이다. 인테리어디자인은 도전이고 마케팅이다. 인테리어디자인을 단순히 소비로 인식하던 시절도 있었지만, 이제 이러한 경향은 경계해야 한다. 인테리어공간연출이 이제는 마케팅이나 투자의 개념으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