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인 주택의 경우도 이제는 점차 그 양식이 사회적이 멋이나 변화에 민감하게 변화하고 있다. 상업건축물의 경우는 더욱 가파르게 그 변화를 경험하면서 차별화 된 지역적인 랜드마크가 되어가고 있다.일반 디자인이 중심이 되는 건축물의 경우는 인간의 상상력 너머를 생각하게 하는 멋진 조화로움과 사고를 포함한다.
거대한 건축물과 그 속에서 자신이 삶을 영위하는 인간의 모습이 가장 현대적인 도시인의 삶일 것이다. 공간은 빠르게 인간의 필요에 맞게 변화하고 때로는 인간의 삶의 변화를 유도한다. 멋지지만 인간이 없는 공간보다는 인간적이면서 다소 투박하지만 인간이 중심이 되는 건축디자인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자연친화적인 건축물,친환경적인 건축물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는데 과연 누구의 입장에서 인가...자연의 입장에서 인가 아니면 인간의 입장에서 인가...건축된 이후에 각종 자연에너지를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에너지원만으로 단순히 자연친화적이라고 명명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건축의 과정에서 망가지고 힘들어하는 자연적인 입장은 전혀고려 되지 않기 때문이다.
홈건축디자인은 일반 상업건축물들의 웅장함이 아닌 다소곳하고 따스한 공간연출입니다. 가족과 함께 하면서 삶을 연출하고자 하는 삶의 다양한 진화의 측면이 공간을 통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은 다양한 만남을 가져오고 서로에서 편안함만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의 시작이 가족인 것처럼 우리의 마지막에도 가족이 있습니다.
인간은 안정적인 삶속에서 문화와 사회의 진화를 거듭하여 왔다. 중간중간에 다양한 역경과 시련이 있었지만 이러한 변화의 큰 틀에는 변화가 없었다. 다만,중요한 것은 이러한 변화의 틀에서 다수 사회인을 포함하는 경향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건축물과 건축디자인이 인간이 아닌 건축물 자체만을 위해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점차 강해지고 있다.
건축물과 건축디자인은 이제 그 중심축이 도시의 경우에는 도시생활자와 공간생활자이어야 합니다. 건축물이 주는 상징적인 의미와 도시속에서 느껴지는 유용성은 도시공간의 점유자를 떠나서는 생각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인간과 공간, 인간과 건축물 그리고 인간과 건축디자인은 하나의 거대한 고리입니다.
인간과 조화를 이루는 도시의 성장은 도시가 지닌 다양한 매력과 삶의 활력이 그 속에서 생활하는 도시인과 호흡을 하여야 합니다. 특히,거대한 건축물들의 위압적인 모습과 용맹스러운 모습은 전투사의 모습일지는 몰라도 결코 자애로운 어머니의 모습은 아닙니다. 따스한 도시건축이 필요합니다.
건축물은 이제 크기로 경쟁하는 시기는 지났다고 생각합니다. 인간과의 교감과 사회적인 유용성이 건축물의 주된 목표가 되어야 합니다. 작은 변화가 주는 큰 변화를 이제 우리사회는 필요로 합니다. 지나친 크기의 경쟁은 인간을 초라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