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구는 자신의 재생산하고 회복하는 속도에 비해서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지구상의 화석연료와 천연자원이 소비되고 있습니다.건축문화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닙니다. 가구와 소품 그리고 다양한 제품들의 생산 및 각종 건축자재의 생산도 이러한 상황을 부채질하고 있습니다. 이제 환경친화적인 상황을 염두에 두고 건축디자인의 세계도 그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홈건축의 경우 이제는 건축물의 내외부의 모든 것이 하나의 공간으로 조화를 이루면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가구와 소품의 조화로움은 이제 하나의 트랜드가 되고 있으며 인테리어와 익스테리어가 조화를 이루는 공간의 모습들도 이제는 하나의 공간으로 거듭날 다양한 종합문화컨텐츠화 되고 있습니다.
건축물은 시대의 이정표이면서 시대적인 지성의 산물이다. 다양한 양식의 건축물들은 당시의 지배계층의 성향과 지배계층의 문화적인 트랜드를 공간속에 착실히 반영하고 있다. 종교적인 이미지가 공간을 지배한 적도 있지만 무엇보다도 다수의 민중들의 사고가 건축양식의 기본틀을 정한다고 생각한다.
삭막한 콘크리트만으로 이루어진 건축물이 아닌 주변의 자연스러운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 이제는 지구촌 곳곳에서 대세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가구와 소품 그리고 마감과 건축물의 외관이 자연스럽게 자연과의 조화를 보여주면서 인간도 건축물도 자연의 일부가 될 수 있음을 느끼게 합니다.
위엄과 경외로움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건축물의 외부와 내부입니다. 시대를 거슬러서 존재할 것 같은 수많은 사연들의 공간속에서 자연스럽게 가구와 소품 그리고 복도를 통해서 우리의 삶속에 비춰지고 있습니다. 고전적이면서도 분위기있는 아늑함이 공간의 주인공인 인간과 건축물의 조화로움의 극치를 이루고 있습니다.
부담스럽지만 결코 인간을 소외시키지 않는 건축양식과 건축물들.. 실내의 높은 천장과 바닥과 벽의 마감이 주는 의외의 온화함과 따스함.. 언제나 한결같게 그 공간의 주인공을 맞아줄것같은 가구와 소품의 밝고 경쾌한 컬러의 조화로움이 공간에 대한 편안함과 익스테리어의 경외로움을 조화있게 연출시키고 있습니다.
홈건축은 이제 하나의 트랜드입니다. 단순히 인테리어적인 부분만이 아니라 익스테리어적인 부분까지도 하나의 공간으로 여기고 삶의 다양성과 개성을 연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삶의 질은 어쩌면 물질보다는 이러한 물질을 사용하는 방식과 공간에 대한 이해에서 비롯된다고 생각됩니다.
자연채광과 자연에너지를 최대한으로 사용하여 친환경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공간을 밀도있으면서도 여유로움이 드러나게 공간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이제 주거건축도 단순히 거주의 목적이 아니라 공간에 대한 아름다움과 개성이 주거공간의 내외부에 여실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