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배성민기자][총리·장관 등 검증논란 속 사퇴지연…주총과 맞물려 혼선] 3개 부처 장관 후보자 낙마 등으로 소란스러웠던 이명박 정부의 초대 내각 출범을 온 신경을 곤두세우며 주시한 이들이 있다. 잡음의 진원지인 후보 당사자와 정치권 외에 입각자들이 사외이사로 재직해온 상장사들이 바로 그곳이다.
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한승수 국무총리를 비롯한 입각 국무위원들과 청와대 비서진의 상장사 사외이사(감사)직 사퇴가 줄을 잇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이 사외이사나 감사로 몸담았던 회사들은 한편으로 기뻐하면서도 후속 인선을 준비해야 할 입장이어서 주주총회 시기와 맞물리며 혼란이 커진 것이다.
임명동의안이 통과된 지난달 29일에는 한 총리가 S&T모터스와 오스코텍 사외이사를 그만뒀고 지난 3일에는 박은경 후보자의 낙마로 후임자로 선정된 이만의 환경부 장관 내정자는 에스제이윈텍 감사직을 그만뒀다.
또 지난달 27일에는 김경한 법무부 장관이 두산과 하이닉스 사외이사를 그만뒀다. 청와대 비서진의 줄사퇴도 이어지고 있다. 국회의 인사 청문회와 무관해서인지 이종찬 민정수석은 지난달 19일 일찌감치 동양종금증권 사외이사직을 그만뒀고 김병국 외교안보수석도 같은달 12일 유진투자증권 이사에서 퇴임했다.
청와대의 경제브레인인 김중수 경제수석과 김준경 재정경제1비서관도 각각 KT사외이사 후보와 한국씨티은행 이사직을 그만뒀다.
이처럼 재임했던 임원들이 정부 고위직으로 진출하는 것은 환영할 일이지만 해당사로서는 불가피하게 가욋일이 생기게 된다. 사외이사 후보를 새로 물색하는 것은 기본이고 주주총회 소집 공고 뒤 사외이사(감사)가 사퇴할 경우 안건 재공고를 위해 주총을 연기하거나 별도의 주총을 또 열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는 것. 주총 소집에는 상장사 규모에 따라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의 돈이 들기 마련이다.
실제로 몇몇 회사는 주주총회 일정을 예년보다 1 ~ 2주일 늦추기도 했고 재소집 여부에 대해 골치를 썩이는 곳도 있다. 김경한 장관의 사외이사 공백을 이장영 박사(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로 메우겠다고 밝힌 두산은 지난해와 2006년에는 2월말에 주총 소집 공고를 냈지만 올해는 지난 3일로 일정을 늦췄다. 두산은 지난해 12월에도 임시주총을 연 사실이 있어 사외이사 문제가 꼬였다면 반년새 3번의 주총을 여는 부담을 안을 뻔 했다.
또 청문회 과정 등에서 불가피하게 회사와 사외이사의 끈끈한(?) 관계가 드러나 잡음을 빚은 곳도 있다. 김경한 장관과 GS건설이 대표적이다. 재산규모가 59억원에 달하는 김 장관은 주요 재산 목록에 2005년까지 사외이사로 근무했던 GS건설이 건설한 골프장의 회원권과 콘도미니엄, 오피스텔 등을 보유한 사실이 공개돼 곤욕을 치렀다. 일부 의원들은 회사 경영을 감시해야 할 사외이사가 회사로부터 특혜를 받지는 않았는지에 대해 추궁하기도 했다.
참여연대는 사외이사에서 현직 각료로 곧바로 넘어갈 경우 생기는 이해충돌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가 검증돼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 회계법인의 고문은 "대형 상장사 같은 경우 주총 개최 비용이 수억원대에 이르기도 한다"며 "각료로 진출할 계획이 있는 사외이사들은 조기사퇴 등 회사를 위한 깔끔한 처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배성민기자 baesm@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부자의 경우 권력에 가까울 수 밖에 없고 권력과 부의 공생관계는 태고이래로 지속되어 왔습니다. 한번 축적한 부나 권력은 항상 대물림의 유혹과 사회정의속에서 그 존속을 모색하여왔고.. 공존은 틀은 관련자들의 끈끈한 카르텔이었습니다. 다양한 인적인 네트워크를 통한 공생... 부를 욕하거나 무시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공정성과 타탕성이 빈약하다면 한번쯤은 고뇌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 행복을 향한 발걸음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