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방의 청결함은 가족의 건강과 직결된다. 주방의 조리부분과 식탁부분은 가족이 함께 대화를 나눌 수 있는 많지 않은 공간이다. 가족생활이 점차 무디어지고 하숙생의 생활로 변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식탁문화의 재발견은 바로 삶의 재발견이다.
주방은 이제 가족 모두의 생활공간이다. 주방은 항상 변화가 필요하고 위생과 편리함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 공간이다. 도시생활은 그 구성원들의 주방시간을 단축시켜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주방은 더욱더 가치를 발해야 한다. 효율성과 편리함 그리고 감성으로......
한옥이나 구옥에서의 부엌은 항상 어머니와 여인들 차지였다. 그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은 집안을 위한 음식장만과 다양한 여인네들의 문화였을 것이다. 현대에서는 이러한 경향은 이미 구시대의 유물이다. 입식부엌에 가족 모두의 공유공간을 주방문화가 정착되었기 때문이다.
주방이라는 공간은 의외로 생동감이 있는 공간이다. 이 공간이 주는 다양한 연출은 삶은 변화와 가족간의 대화와 재발견이 가능하다. 아주 작은 변화, 예를 들면, 커버나 식탁보 또는 작은 소품이라도 변화시켜 보자. 그 변화가 주는 효과가 결코 작지 않을 것이다.
주방은 가족 모두의 공간이다. 백색가전처럼 주방의 빛도 밝은 흰색이 주류를 이루면 분위기가 화사하고 보다 적극적인 활동성이 연출된다. 위치와 배치의 경우도 편의성과 청소나 정리정돈의 편안함을 주로해서 보여주고 있다.
주방은 가족모두의 만남이 가능한 공간이다. 주방은 거실과 함께 가족이 모두 함께해야 그 가치가 있는 공간이다. 주방은 이제 현대인의 건강과 밀접하게 연관된 공간이다. 주방은 가족 모두의 참여가 필요한 공간이다.
인테리어디자인은 단순히 상업적인 공간에서만 그 진가가 발휘되는 것이 아니다. 가정내에서도 다양한 기능을 한다. 특히,주방이 변화된 모습은 가족구성원들의 사고를 바꾸어놓는다. 가족 모두가 함께 하는 공간인 식탁의 변화는 삶의 질을 높인다.
주방은 위생및 가족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채광과 각종 용기의 청결성이 주방인테리어의 연장선상에서 검토되어져야 하고 식탁의 경우도 가족모두의 사용편의성이 생각되어야 합니다. 이제 주방인 가정주부의 공간이 아닌 가족 모두의 공간이기 때문에 모두가 쉽게 그 부속물들을 자연스럽게 확인하고 사용가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