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순히 건물의 외양만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의 내외부를 조화롭게 연출하는 인테리어디자인이 바로 우리의 삶속에 존재한다.주거공간이 바로 이러한 우리의 열망에 부합하는 공간연출의 무대다. 주거건축물의 외부의 변화와 실내인테리어디자인의 연출은 의외로 삶의 진가를 경험하게 해준다.
주거공간은 삶의 중심이다. 이제는 상업적인 활동의 중심으로 사회가 돌아가지 않는다. 가족을 중심으로 삶의 질이 높아지고 삶의 가능성이 커진다. 가족은 답이다.그리고 우리들의 삶의 시작과 끝에 가족이 있다. 이러한 가족과 함께하는 주거공간은 삶의 전부라고 할 수 있다. 개성넘치는 주거공간의 연출은 삶의 질서이다.
계절의 변화에 부응해서 보다 여유롭게 공간을 변화시키는 것도 삶의 지혜일 것이다. 우리는 알고 있다. 변화가 즐거운 시도라는 것을 그러나 변화는 항상 부담으로 존재한다. 간단한 리폼이나 공간에 대한 분위기의 전환만으로 우리는 공간속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인테리어디자인은 단순히 소비가 아니다. 실내인테리어디자인은 공간에 대한 기대이고 예의이다. 공간은 인간의 손길을 만나는 순간 변화되고 이 변화는 다시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 행복하고 싶다면 작은 변화의 지속성에 익숙해져야 한다.
계절의 변화에 걸맞게 집안의 짜투리 공간이나 여유공간의 변화를 추구하는 것이 좋다. 가족 모두의 삶에 활기를 불어넣어주고 삶의 질서를 지켜가기 위해서 공간의 변화는 그 자체만으로 생명력을 갖게 되는데 이는 변화지향적인 인간이 성향과도 같다.
계절의 변화와 더불의 삶은 향상 역동성을 지니게 된다. 계절은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중요한 모티브이다. 이러한 변화의 순간에 짜투리 공간이나 소외되고 지저분해진 공간속에 변화를 추구해보자. 삶의 분위기가 업될 것이다.
공간은 단순한 무생명체의 공간이 아니다. 처음 아무런 생명력이 없는 공간이지만, 인간의 손길에 의해서 다양한 의미가 부여되면 그 공간은 삶의 열정을 보이게 된다. 그리고 인간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공간과 인간은 상호작용을 하는 존재이다.
가정의 문화가 이제 사회일반적인 문화보다 우선적으로 우리들의 삶을 지배하고 있다. 주거공간은 이제 하나의 단순한 건축디자인의 영역이 아니라 행복한 가족문화의 산실이다. 주거건축물의 가치도 이러한 관점에 변화되어지고 인식되어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