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환경적인 디자인의 영역 중심에는 주거공간이 있다. 주거공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안정을 찾아간다. 가족과의 생활을 무시하지마라. 가족과 함께하는 주거공간의 연출은 삶의 중심이 될 수 있다. 가족이 없는 현대인의 성공은 사실 실패한 삶이다.
오래전 인간의 땅을 위해서 각축을 벌였습니다. 그 이후에는 자원을 위해서 전쟁을 벌였고 지금은 에너지와 국익을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개별적인 사회구성원인 현대인은 공간을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하고 있습니다. 종국에는 멋진 자신만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것입니다. 주거건축물과 건축물의 역사는 그렇게 진행될 것입니다. 인간의 경쟁사회의 산물로서.
단조롭게 천편일률적인 도시문화가 만들어낸 정형적이 주거문화에서 벗어나서 개성과 멋 그리고 친환경성이 조화를 이룬 삶의 터전을 마련하고 싶은 것은 모든 도시인의 소망입니다. 이제 주거공간의 연출도 단순히 단적인 효율성이나 멋이 아닌 녹색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자연과의 교감을 이루는 공간으로 연출하는 것이 지구촌의 대세입니다.
주거공간의 변화는 이제 시대적인 필연이다. 에너지와 지구환경을 고려한 주거문화가 이제는 하나의 지구촌 트랜드가 되고 있다. 주변의 자연환경을 고려한 녹색건축디자인은 사회 각 분야의 이슈가 되고 있으며 특히 건축문화와 결합된 새로운 트랜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사람은 공간이 없이는 생활할 수 없습니다. 주거공간이든 업무공간이든 공간은 인간활동의 필수적인 영역입니다. 공동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업무공간의 경우 공동체의 목적이 그 중심에 있지만, 사실상 주거공간의 경우 개인의 삶과 보다 밀접하고 개인적인 공간으로 그 유용성과 필요성이 더욱 크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개성만인 강조되던 건축디자인은 이제 다양한 공간속에서 그 발전을 거듭하고 그 창조적인 진화를 보여주고 있다. 단순히 멋만이 아니라 외관과 조화를 이룬 내부의 인테리어와 효율적인 공간의 연출이라는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건축디자인은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건축디자인의 세계는 의외로 다양하다. 다양한 디자인이 이제는 건축분야에서도 그 다양성으로 빛을 발하고 있다. 서서히 자라는 건축디자인의 분야는 이제 주거와 상업공간을 중심으로 그 개성과 창조적인 표현을 이루고 있다. 녹색성장과 균형잡힌 주거문화라는 표방아래 세계는 점차 그 다양한 건축디자인의 세계를 바라보고 있다.
건축디자인의 세계는 다양성이 그 생명이다. 과거에 종교가 중심이 되었던 건축문화의 트랜드는 이제 다양한 삶의 현장에서 다양성을 기본으로 해서 개성넘치고 실용성있게 연출되고 있다. 주거공간에 대한 변화도 그 예외는 아니다. 녹색주거공간과 멋을 지닌 개성넘치는 공간으로 다양한 주거건축물이 이 지구촌을 덮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