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격하지 않는 컬러의 단조로움과 화려함보다는 섬세함과 자유스러운 소통의 장을 실내인테리어 공간속에 연출하고 있습니다. 행복감과 행운이 함께 하는 삶의 현장을 우리는 인테리어디자인의 영역을 통해서 경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거실과 다용도 공간의 활용을 통해서 우리는 공간의 향기를 바꿀 수 있습니다.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물질이나 물건이 아니다. 대화다.특히,가족간의 단절감과 세대차이는 상상을 넘어서서 가족 불화의 문제가 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답을 가족내부에서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대화의 중심에 있는 것은 거실이다. 화사하면서 따스한 분위기의 거실꾸미기는 대화의 자연스러운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현대인은 거대한 조직군에 속해서 생활하면서 삶의 소외감이나 삶의 진정한 가치에 대해서 많은 의문을 느끼고 사회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자신의 무력감을 심히게 경험하게 됩니다. 모든 시작과 모든 마지막에는 가족이 있듯이 이제 우리의 삶속에서 가족과 함께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이는 거실공간의 새로운 리모델링이나 리폼인테리어의 형태로 자리잡게 될 것입니다.
공간은 어떤 목적으로 어떠한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디자인이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결코 완전하게 완성된 문화적인 산물이 아니다. 그 속에 인간이 있고 인간의 행동의 존재했을 때 비로소 부족한 부분이 완성되어 생명력을 갖게된다. 인테리어디자인 공간이나 실내인테리어의 영역에서도 물론 그렇다.
호화롭기 보다는 개성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인테리어공간입니다. 특히 거실이 주는 안정감은 가정이라는 공간의 특징을 엿볼 수 있게 합니다. 가정과 함께 하는 현대인은 그 심적인 면에서 보다 안정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이나 도시인들은 항상 다양한 결정의 순간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좀 더 사색을 하면서 합리적인 결정을 위한 시간을 갖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가장 이상적인 공간은 집이다. 가정을 다소 사색적이면서 명상이 가능한 공간으로 변화시켜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거실인테리어의 경우에 공간의 의미와 주된 사용자를 고려하여 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양한 사람들의 모여서 서로의 친화력을 배가시키는 경우에 우리는 어떠한 의미를 느끼게 되는지 상상할 수 있다. 따라서 가족이나 친분있는 사람들의 성향에 따라서 거실인테리어의 색감과 감성이 달라지고 개성연출의 부분도 고려되어야 한다.
거실인테리어 공간이 지나치게 메탈문화의 영향으로 무미건조하게 변화하던 추세에서 자신 삶의 공간을 보다 자연스러우면서 따스하게 연출하는 추세에 비추어 보아 공간이 주는 이미지 변화가 시도되고 있다. 우드와 중후한 컬러 그리고 무게감과 안정감이 느껴지는 소품과 가구 그리고 마감의 등장이 바로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