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실은 변화하고 있다. 가족 모두의 공간이면서 손님과의 첫 번째 대면이 이루어지는 공간이라는 역할에서 부부나 개인의 개별적인 공간으로...... 이제 거실은 그 사용자가 극히 제한되고 있으며 그 사용자의 개성이나 개인적인 필요성에 맞게 연출되고 있다.
거실인테리어가 주는 다양한 감동과 사랑의 하모니는 이제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핵가족화와 개별가족화의 일상적인 현상이 서서히 가족간의 단절과 무심함을 양산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벌어지는 대화의 부재는 다양한 가족해체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으면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은 거실문화의 활성화를 통한 가족문화의 회복이다.
대화가 필요하다. 대화를 위해서는 공간이 필요하다. 공간은 지속적으로 변화를 필요로 한다. 가족개념이 희박해가는 현대적인 삶에 있어서 거실공간의 변화는 가족생활의 중요한 단초를 제공할 것입니다.
현대인은 항상 다수의 공간속에서 생활을 하고 있지만 진정으로 자신의 편안함을 느끼는 공간은 주거입니다. 주거공간을 부분적으로 또는 리폼을 통해서 일부나마 변화를 추구하는것은 어쩌면 삶의 의욕을 지속시키는 하나의 생활방법일 것입니다.
한 가정의 공간내에서도 다양한 범위와 동선 그리고 필요성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주거공간의 거실이나 주방 그리고 욕실등의 경우에도 그 쓰임새와 위생 그리고 효율적인 사용이나 멋에 있어서 각 공간의 개성을 연출해 보는 것이 좋은 공간디자인의 세계라는 생각이 든다.
거실공간이 경우 가족들의 대화와 삶의 진솔한 면을 노출시키는 화합의 공간이면서 만남의 공간입니다. 현대사회의 무미건조함을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의 중심에는 거실이라는 공간이 있습니다.
실내공간의 경우 멋진 공간과 가구의 연출입니다. 개성넘치는 가족문화공간으로 자리를 잡아가는 거실의 경우 가족문화의 부재에 대한 대안공간이 될 수 있습니다. 작은 변화가 의외로 큰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 바로 공간의 의미입니다.
주거공간속에서 자신의 삶은 또 다른 향기를 발할 수 있습니다. 현대인의 직장생활과 사회생활은 필연적으로 큰 틀을 벗어날 수 없고 그 틀이 주는 삶의 모습은 이제 하나의 트랜드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각자의 개성에 맞은 삶의 모습은 이제 진정한 현대인의 삶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각자의 주거공간인 침실과 거실은 이제 하나의 문화공간으로 변모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