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성공
-
세상살이는 선택의 연속이고 선택의 결과다. 그 선택은 책임이 따른다.세상살이 2022. 8. 13. 22:41
우리는 매순간 선택과 직면한다. 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삶은 다양한 선택과 마주한다. 선택과 그 선택에 의한 결과.. 그리고 그 결과에 대한 책임이 바로 인생의 큰 틀이다. 그리고 그 인생의 큰 틀이 인생살이의 전부다. 인생의 혼란과 문제는 선택을 하지 않거나 타율적인 선택에서 우선 1차적인 원인이 있다. 그리고 2차적인 원인은 자신의 선택에 따른 결과를 회피하려는 이기적이고 무책임한 태도에서 찾을 수 있다. 사회는 냉정하고 실리적인 면이 강하다. 아무리 연고주의가 판을 친다고 하더라도, 이성적이면서 이기적인 인간의 의식에는 실리적인 요소가 강하다. 본인이 자신의 가치를 보여준다면 그에 걸맞는 조건의 자리가 항상 존재한다. 가치는 스스로 매기는 것이지만, 그 가치에 응답하는 것은 사회다. 그 과정에서..
-
역경을 모르는 자는 성공을 모르고 인생의 진정한 의미를 망각하는 자이다.반드시해라 2011. 8. 10. 10:37
▒ 역경은 성공을 향한 시련이다 ▒ 외국 노래 중에 오스트리아 민요인 '에델바이스(Edelweiss)' 가 있다. '눈처럼 빛나는 순결은 우리의 자랑......' 이란 가사 내용과 함께 이 꽃의 탄생 과정이 가슴 깊이 와 닿아서다. '소중한 추억' 이란 꽃말을 가진 국화과의 에델바이스는 산악인들이 매우 반기는 꽃이기도 하다. 이 꽃은 주로 히말라야 산맥이나 알프스 산맥처럼 높은 산자락에 피어나기 때문이다. 작지만 강한 꽃으로 아주 추운 겨울에 깊은 산 바위 틈 눈 속에서 탐스러운 꽃봉오리를 맺는다. 그러다가 훈훈한 봄바람에 눈이 녹으면 에델바이스는 그 청초하고 앙증스러운 자태를 드러낸다. 이 꽃은 흰 양털과 같은 부드러운 털이 많이 난 별 모양의 꽃으로, 유럽에서는 흔히 '알프스의 별' 이라고도 부른다...
-
발상의 전환과 창조적인 사고만이 답이다. 당신의 당신안의 거인을 깨워야 한다.힘이되는글 2011. 4. 6. 10:27
상식만으로 살아간다면 당신은 절대로 밥을 굶지않는다. 상식을 잘 지키고 산다면 당신의 인생은 안전한 고속도로 주행이다. 그러나 결코 앞서거나 선두가 되거나, 남과 다른 인생의 묘미를 막끽하지는 못한 채 무덤으로 향하는 것이다. 그러고 한 마디 할 것이다. 그러나 정말 열정적으로 자신의 에너지를 오롯이 다 사용하면서 삶을 질은 높이려고 한다면 성공한 사람들의 삶속에 있는 작은 차이에 주목해라. 아주 작은 발상의 전환과 아이디어 그리고 이러한 발상의 전환과 아이디어의 실현이 삶의 가치를 바꾸고 의미를 바꾼다. 변화를 두려워하고, 새로운 무엇인가에 대한 도전을 두려워하는 것은 결국 우리안에 갖힌 짐승의 삶을 갈망하는 것이다. 과감하게 그리고 단호하게 우리를 뛰쳐나오는 순간 당신은 진정한 자유인이 된다. 시..
-
영광으로 가는 길에 필요한 삼요소. 피와 눈물과 땀힘이되는글 2011. 1. 26. 23:55
영광의 원천은 피와 눈물과 땀 "내가 바칠 수 있는 것은 피와 노고(勞苦)와 눈물과 땀 밖에 없다." 처칠경의 말입니다. 대학 입학시험에 낙방하였으나 분발 노력하여 2차 대전을 승리로 이끈 대정치가이며 「회고록」을 써서 노벨 문학상까지 받은 수재입니다. 비상시(非常時)에는 비상한 정신과 비상한 각오가 필요합니다. 범상(凡常)한 정신과 범상한 각오로는 도저히 비상시를 돌파할 수 없습니다. 세계 제2차 대전이 일어나서 히틀러의 침략 앞에 영국의 운명은 풍전등화(風前燈火)의 위기에 놓였습니다. 이때 처칠경은 전시 내각을 조직하고 수상(首相)과 국방상을 겸임하여 승리할 때까지 5년3개월 동안 조국을 위해서 분골쇄신(粉骨碎身)했습니다. 1940년 5월13일 그는 하원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유명한 역사적 연설을..
-
사면초가는 우리의 사회생활에서 일상이다. 심리전에서 지면 끝이다.세상살이 2010. 1. 15. 10:58
사방이 적으로 둘러싸인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를 일컽는 말로.. 사방에서 빗발치는 비난이나 어려움속에서 외톨이가 된 상태를 비유하여 말하기도 한다. 《사기(史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의하면 초(楚)의 항우가 한(漢)의 유방(劉邦)군에 패하여 해하(垓下)에서 포위되었을 때, 사방을 에워싼 한나라 군사 속에서 초나라 노랫소리가 들려오자 크게 놀라, "한나라가 이미 초나라를 점령했다는 말인가, 어째서 초나라 사람이 이토록 많은가" 하고 슬퍼하였다 한다. 이것은 한나라 고조가 꾸며낸 심리작전이었다. 우리는 너무나 힘들어 길이 보이지 않고 사방팔방으로 어려움과 고난으로 둘러쌓여 있을때 이러한 상황을 사면초가라고 한다. 그런데 진정한 사면초가는 없다. 사면초가라는 고사성어에서도 알수있듯이 이는 한고조 유..